CD154

CD40LG
사용 가능한 구조
PDB동원체 검색: PDBe RCSB
PDB ID 코드 목록

1ALY, 1I9R, 3LKJ, 3QD6

식별자
다른 이름CD40LG, CD154, CD40L, HIGM1, IGM, IMD3, T-BAM, TNFSF5, TRAP, gp39, hCD40L, CD40 ligand
외부 IDOMIM: 300386 MGI: 88337 HomoloGene: 56 GeneCards: CD40LG
유전자 위치 (인간)
X 염색체
염색체X 염색체[1]
X 염색체
CD40LG의 유전자 위치
CD40LG의 유전자 위치
자리Xq26.3시작136,648,158 bp[1]
136,660,390 bp[1]
유전자 위치 ()
X 염색체 (쥐)
염색체X 염색체 (쥐)[2]
X 염색체 (쥐)
CD40LG의 유전자 위치
CD40LG의 유전자 위치
자리X A6|X 31.21 cM시작56,257,503 bp[2]
56,269,402 bp[2]
RNA 발현 패턴
Bgee
인간(동원체)
최상위 발현
  • 림프절

  • 혈액

  • 충수

  • 곧은창자

  • 비장

  • 쓸개

  • 골수

  • 샘창자

  • 가슴샘

  • 단핵구
최상위 발현
  • 가슴샘

  • Meckel's cartilage

  • 비장

  • 엉덩부위

  • 어깨

  • 위팔뼈

  • 어깨뼈

  • 공장

  • major salivary gland

  • 이자
추가 참조 발현 데이터
BioGPS
추가 참조 발현 데이터
유전자 온톨로지
분자 함수
  • 사이토카인 활성
  • CD40 receptor binding
  • 종양괴사인자 수용체 결합
  • 단백질 결합
세포 성분
  • integral component of membrane
  • 세포막
  • 세포막
  • integral component of plasma membrane
  • 세포밖공간
  • external side of plasma membrane
  • intracellular anatomical structure
  • 세포 표면
  • 세포 바깥쪽
생물학적 과정
  • leukocyte cell-cell adhesion
  • positive regulation of interleukin-12 production
  • 세포자멸사 과정의 하향조절
  • 종양괴사인자 매개 신호전달 경로
  • platelet activation
  • positive regulation of endothelial cell apoptotic process
  • B cell proliferation
  • 면역글로불린 종류 변환
  • 면역반응
  • regulation of immune response
  • B cell differentiation
  • inflammatory response
  • T세포 보조자극
  • 전사인자 NF-kB 활성의 상향조절
  • positive regulation of interleukin-4 production
  • positive regulation of interleukin-10 production
  • positive regulation of T cell proliferation
  • 신호전달 수용체 활성의 조절
출처: Amigo / QuickGO
동원체
인간
앙트레

959

21947

앙상블

ENSG00000102245

ENSMUSG00000031132

유니프롯

P29965

P27548

RefSeq (mRNA)

NM_000074

NM_011616

RefSeq(단백질)

NP_000065

NP_035746

위치(UCSC)Chr X: 136.65 – 136.66 MbChr X: 56.26 – 56.27 Mb
PubMed 검색[3][4]
위키데이터
인간 보기/편집쥐 보기/편집

CD154, CD40 리간드, 또는 CD40L은 활성화된 T세포에 일차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이고, TNF 분자 중 하나이다. 이것은 항원전달세포 (APC)위의 CD40에 결합하여 표적 세포의 종류에 의존하는 많은 효과들을 유도한다. 일반적으로, CD40L은 공동 자극성 분자로써 역할하고 APC위의 MHC 분자들에 의한 T 세포 수용체 자극과 함께 APC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완전한 CD40L은 CD40, α5β1 integrin, 그리고 αIIbβ3의 3개 분자와 결합할 수 있다.

CD154는 T 세포의 표면에서 발현된다. 이것은 B세포 표면의 CD40과 결합함으로써 B 세포의 기능을 조절한다. 이 유전자의 결함은 면역글로불린 종류의 전환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하이퍼 아이지엠 신드롬(hyper IgM syndrome)을 나타낸다.[5]

CD154의 표현

CD40 리간드는 일차적으로 활성화된 CD4+ T 림프구에서 발현되나, soluble 형으로도 발견된다. CD40L은 원래 T 림프구 위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그것의 발현은 혈소판, 비만세포, 대식세포, 호염구, 자연 살해 세포, B 림프구, 그리고 비조혈세포(non-haematopoietic cells) (예를 들어 평활근, 상피세포, 그리고 내피세포 등)등의 넓은 종류의 다양한 세포에서 발견이 되었다.[6]

세포에서 특징적인 영향

대식세포

대식세포에서, 활성화를 위한 일차적 신호는 Th1 타입의 CD4 T 세포로부터의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gamma)이다. 이차적 신호는 대식세포 표면의 CD40에 결합하는, T 세포의 CD40L이다. 그 결과로 대식세포는 더 많은 양의 CD40와 TNF 수용체를 표면에 발현하여 활성화의 정도를 증가시킨다.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식세포작용이 일어난 박테리아를 파괴하고 더 많은 시토카인을 분비할 수 있게 된다.

B 세포

B세포항원보조 T 세포에 제시한다. 만약 활성화된 T 세포가 B 세포에 의해 발현된 펩타이드를 인식하면 T세포 위의 CD40L이 B세포의 CD40 수용체에 결합하여 B 세포의 활성화를 일으킨다. T 세포는 또한 IL-4를 생산하여, 직접적으로 B 세포에 영향을 준다. 이런 자극의 결과로써, B 세포는 분열이 일어난 후 항체 동형 전환(isotype switching)이 일어나고 형질세포로 분화된다. 결과적으로 병원균 표적에 대한 특정한 항체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B 세포가 된다. 이런 효과에 대한 증거로는 CD40이나 CD154에 문제가 생긴 쥐의 경우, 종류 전환(class switching)이나 배중심(germinal center)의 형성이 적게 일어난다는 점과 면역 반응이 심각하게 억제된다는 점이 있다.

내피세포

활성화된 혈소판등으로부터 유래한 CD40L에 의한 내피세포의 활성화는 반응성이 강한 산소 종류의 생성을 유도하고, 케모카인(chemokine)과 시토카인(cytokine)의 생성과 E-selectin, ICAM-1, VCAM-1과 같은 세포 접합 분자(cell adhesion molecule)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이 내피세포의 감염반응은 병변에의 백혈구의 동원을 유도하고 잠재적으로 동맥경화를 일으킬 수 있다.[7]

상호작용

CD154는 RNF128과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8]

각주

  1. GRCh38: Ensembl release 89: ENSG00000102245 - 앙상블, May 2017
  2. GRCm38: Ensembl release 89: ENSMUSG00000031132 - 앙상블, May 2017
  3.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Entrez Gene: CD40LG CD40 ligand (TNF superfamily, member 5, hyper-IgM syndrome)”. 
  6. Schönbeck U; Libby P (2001). “The CD40/CD154 receptor/ligand dyad”. 《Cell. Mol. Life Sci.》 58 (1): 4–43. doi:10.1007/PL00000776. PMID 11229815.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7. Szmitko PE; Wang CH; Weisel RD; de Almeida JR; Anderson TJ; Verma S (2003). “New markers of inflammation and endothelial cell activation: Part I”. 《Circulation》 108 (16): 1917–23. doi:10.1161/01.CIR.0000089190.95415.9F. PMID 14568885.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8. Lineberry, Neil B; Su Leon L, Lin Jack T, Coffey Greg P, Seroogy Christine M, Fathman C Garrison (2008). “Cutting Edge: The Transmembrane E3 Ligase GRAIL Ubiquitinates the Costimulatory Molecule CD40 Ligand during the Induction of T Cell Anergy”. 《J. Immunol.》 (United States) 181 (3): 1622–6. PMC 2853377. PMID 18641297.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참고 자료

  • Parham, Peter (2004). 《The Immune System》 2판. Garland Science. 169–173쪽. ISBN 0-8153-4093-1. 
  • Cheng G; Schoenberger SP (2002). “CD40 signaling and autoimmunity”. 《Curr. Dir. Autoimmun.》. Current Directions in Autoimmunity 5: 51–61. doi:10.1159/000060547. ISBN 3-8055-7308-1. PMID 11826760. 
  • Subauste CS (2002). “CD154 and type-1 cytokine response: from hyper IgM syndrome to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J. Infect. Dis.》. 185 Suppl 1: S83–9. doi:10.1086/338003. PMID 11865444. 
  • Kornbluth RS (2003). “An expanding role for CD40L and other tumor necrosis factor superfamily ligands in HIV infection”. 《J. Hematother. Stem Cell Res.》 11 (5): 787–801. doi:10.1089/152581602760404595. PMID 12427285. 
  • Xu Y; Song G (2005). “The role of CD40-CD154 interaction in cell immunoregulation”. 《J. Biomed. Sci.》 11 (4): 426–38. doi:10.1159/000077892. PMID 15153777. 

외부 링크

  • 의학주제표목 (MeSH)의 CD154+Antigen
  • GeneReviews/NCBI/NIH/UW entry on X-Linked Hyper IgM Syndrome or Immunodeficiency with Hyper-IgM, Type 1